Songlim Dohyang
Pine Tree Infused Tea
Pine Tree Infused Tea
To learn more about best by dates click here
송림도향 황장목 심재 침출차
Couldn't load pickup availability
Highlights
Ingredient: The Royal Tree Tea Hwangjangmok Pine Tree Heartwood (Korea) 100% (황장목 소나무 줄기 100%(한국산))
Process: Source material → Milling → Extracting heartwood → Washing → Aging → Processing as slices → Testing & quality check → Cotton tea bags → Testing & quality check → Internal packaging → External packaging → Quality check and release ( 원료 입고 → 제재 → 심재 발췌 → 세척 → 숙성 → 절편 제조 → 검수 및 검사 → 순면 티백 제작 → 검수 및 검사 → 내포장 → 외포장 → 검수 및 출고)
Net Weight: 1 box (2 g X 10 bags 개입)
Storage Method: Store at room temperature, in a cool dry place (실온보관 / 직사광선을 피하고 건냉한 장소에 보관하십시오.)
About
Daesan, the company that created Songlim Dohyang, is funded by the Marine Bio Fusion Operation Headquarters of the Gangneung Science and Industry Promotion Agency. They are the first in the world to offer food products using the heartwood of Hwangjangmok pine trees and are devoted to biological research in analyzing substances such as polyphenols and terpene, as well as finding indicator materials. Every step of production is scrutinized and processed by master artisans and the Hwangjangmok is sourced from Gangneung Lumber Mill, a place that has been supplying the finest quality pine trees for 45 years. In addition, the CTO Kim Namhee, along with Korea University and KIST teams, are continuing the research about Hwangjangmok, proving its value as a superior bioresource.
송림도향을 탄생시킨 기업 ‘대산’은 강릉과학산업진흥원 해양바이오융합사업본부 입주 기업입니다. 세계 최초로 황장목 소나무 심재 부분을 활용한 식품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폴리페놀, 테르펜 같은 성분을 분석하고 지표물질을 찾기 위한 바이오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모든 공정은 장인들에 의해 철저히 진행되며 특히 주재료인 황장목은 45년 역사의 최고급 소나무를 취급하는 강릉제재소에서 수급됩니다. 또한 기술이사인 김남희 박사가 고려대학교, KIST 등과 함께 황장목에 관한 연구를 꾸준히 진행하며 바이오 소재로서의 가치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From the CEO of Songlim Dohyang, Choi Hoon-suk
When I saw a traditional carpenter making tea out of old pieces of pinewood I was awestruck. The tea was made by boiling old wood from a recently repaired hanok. At first, I was puzzled because I had never thought that wood could be turned into tea, but I instantly fell in love with its rich and aromatic pine flavor. In order to make good tree tea, you first need fine quality wood and second, you need long-aged wood in order to get that rich aroma. This practice seemed to only be known in the social circles of carpenters. I realized that there was potential in introducing this unique tea to more people as a new part of the Korean culture.
Internationally, there are many cultures that use wood for their dishes. Canada uses maple, Finland uses birch, Thailand uses palm trees, Japan uses cedar, and China uses bamboo. Since ancient times, the pine tree has held a symbolic place within Korean culture, appearing in various artwork and serving as a staple material to build the country's homes and palaces. In modern times, pine trees are planted in every government office and during important diplomatic events such as the inter-Korean summit.
For a tree that symbolically represents our country in so many cultural aspects, it is not so evident in our food. This is why, together with my wife Kim Namhee – a doctor in food engineering and the CEO of Food-Tech Lab – I decided to take the finest of Hwangjangmok pine trees, aged 150 years or more, with trunk diameters of 20 inches and thicker, and create the premium Royal Tree Tea.
Interview 송림도향 최훈석 대표
“강릉의 전통 목수가 오래된 한옥을 수리할 때 나오는 소나무 고재를 뜨거운 물에 우려 마시는 것을 보고 착안했습니다. 처음에는 나무가 차(茶)가 될 수 있다는 것을 한번 도 생각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의아했지만 소나무의 좋은 향들이 가득하고 진하게 우려진 나무의 맛에 매력을 느꼈습니다. 그리고 첫째는 나무가 좋아야하고 둘째는 오랫동안 숙성될수록 향과 맛이 더욱 깊어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좋은 소나무의 맛과 향이 목수들 사이에서는 전해져 내려왔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잘 경험하지 못하는 것이 새로운 한국의 문화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국제적으로 나무를 활용한 문화 특히 식품사업이 많은데 캐나다는 단풍나무를 핀란드는 자작나무를 태국은 야자나무를 일본은 삼나무를 중국은 대나무를 활용한 경우입니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소나무를 사랑해왔고 소나무와 관련된 예술 작품도 많고 세간살이부터 집과 궁궐도 지었습니다. 그리고 현대에 와서는 관공서마다 소나무를 심고 남북정상회담이 열리면 소나무를 식재합니다. 그만큼 소나무와 관련된 상징적인 문화가 많지만 그 나무를 활용한 식품이 잘 없다는 점에서 식품공학 박사인 아내(김남희연구소 대표)와 함께 최고급 소나무인 수령 150년 이상, 직경 50cm가 넘는 황장목으로 프리미엄 차로 재탄생시키게 되었습니다.”
Description
The heartwood of a majestic 150-year-old pine tree now available as a wellness tea. Allow the aromatic pine scent to transport you to the lush mountains of Yeongdong, Korea.
송림도향 황장목 심재 침출차
150년 수령의 웅장한 소나무 심재를 웰니스 티로 탄생시켰습니다.
What is the heartwood of Hwangjangmok, or the royal tree?
Hwangjangmok, a native of Korea, is the other name of the geumgang pine tree. Its name was inspired by its golden-colored wood that was coveted by the roy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Today, heartwood is studied extensively for its high levels of a self-protective substance called Pinosylvin, a type of polyphenol. The innermost core of this tree is called heartwood. Pine tree heartwood, in particular Hwangjangmok heartwood, has uniquely high levels of polyphenol as well as other beneficial substances. This core also has a deep, distinct aroma that can be enjoyed as a tea and help us calm and regenerate our bodies and minds.
For these reasons, Songlim Dohyang uses majestic Hwangjangmok pine trees that are at least 150 years old. The trees are grown in the remote mountains of Yeongdong in the province of Gangwon. After being cut, the logs are de-barked then left exposed to the natural powers of sun, ocean, and wind for six months to several years until the resin is dried. Only the inner core, infused with strong flavors of the dried logs, is extracted. A long and meticulous process is carried out to procure only the purest infusion.
Tea Drinking Tips
It’s like taking in the goodness of the lush green forest with every cup of Songlim Dohyang, The Royal Tree Tea. Let the comforting yet refreshing aroma of the majestic pines calm your body and your mind.
- Use hot boiling water of 203°F or hotter. Hotter the tea water the better. Teabags made from 100% cotton which means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microplastic residues. Instead, you can focus on enjoying the natural flavors of the tea.
- Concentrate and breathe in the aroma first, letting yourself really smell and take in the fullness of the pine. Then carefully take a sip, slowly rolling the tea in your mouth and feeling every little change that comes to you.
- A single tea bag can be reused up to 7 times. The first cup may be a bit pungent and but from the second cup onwards it will leave a sweet lasting taste. From the first to the third cup, seep for 3 mins or longer, and then seep 5 to 7 mins for every cup after that. The first cup will be the most aromatic, while the taste will be at its best on the second cup.
황장목 심재란?
황장목은 금강소나무의 다른 말로, 조선왕실에서 썼던 최고급 토종 소나무를 일컫습니다. 나무 속이 황금빛으로 노란 소나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 바로 황장목입니다. 심재는 나무의 속살을 의미하는데 이 심재에는 자기 방어물질(폴리페놀계 성분인 피노실빈, Pinosylvin)의 함량이 높아 천연 바이오 소재로 많은 연구가 되는 물질입니다. 그리고 심재 중에서도 소나무의 심재가 좋고 그 소나무 중에서도 황장목에 이러한 좋은 물질들의 함유량이 더욱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 심재는 진하고 상쾌한 특유의 향이 있어 그 향을 맡으면 우리의 지친 몸과 마음에 활력을 줍니다.
송림도향에서 사용하는 황장목은 영동지방의 깊은 산 속 인적이 드문 산에서 최소 150년 이상 양질의 자양분을 흡수하며 곧게 자라온 소나무입니다. 벌목 후 나무의 껍질을 벗기고 송진이 다 마를 때까지 태양, 바다, 바람의 힘으로 6개월에서 수 년간 자연 건조로 숙성을 합니다. 그리고 숙성된 황장목의 속 살 중에서 향미성분이 강한 부분만을 선별하여 원료로 사용합니다. 이렇게 만들어 지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과정이 복잡하여 그 생산량이 매우 적어 매우 귀한 가치를 지녔습니다.
마시는 법
송림도향 황장목 심재 침출차는 마치 상쾌한 피톤치드를 차로 마시는 것 같은 느낌이랄까요. 소나무의 묵직하고 싱그러운 향이 명상을 하는 듯한 기분까지 안겨줘요.
- 찻물은 뜨거울 수록 좋습니다. 95°C 이상의 끓는 물을 부어주세요. 100% 목화 순면으로 제작한 티백이므로 미세플라스틱 발생 염려가 없고 최대한 자연의 맛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온 몸의 감각을 통해 울창한 소나무숲 한 가운데에 머무는 듯한 향을 음미하세요. 마시기 전에 향을 깊이 들이마신 후, 천천히 입안에서 굴리면서 온 몸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변화에 집중해보세요.
- 한 개의 티백으로 7번을 즐길 수 있습니다. 첫 물은 알싸하지만 두 번째부터는 여운이 긴 깊은 단 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 첫 물부터 셋째 물까지는 3분 이상, 그 다음 회차부터는 5~7분 이상 우려 드세요. 향은 첫 물이 가장 좋고, 맛은 두번째가 가장 좋습니다.
Share





